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사주에서 합(合)이라는 것이 있으면 좋은가? 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합이라는 것은 어감상으로는 참 좋은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 합운에는 살림살이가 늘어나기도 하고 이성운이 증가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합이라는 것은 그만큼 파이가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신경쓸게 많아지기도 하고 내 손발이 여러번 번거로워지기도 합니다. 합이 되면 합화물이 생기게 됩니다. 합은 증가, 결속, 생산, 확장 등을 말하는데 남녀가 만나서 아이를 생산하는 것도 합화물이라고 볼 수가 있겠죠. 그리고, 년월에 합이 붙으면 직장에서 동료들과 프로젝트를 새로 진행을 하기도 하고 주업, 부업을 확장하기도 할 수 있겠습니다. ◎戊◎◎ ◎寅亥◎ 지지가 인해합(육합)으로 되어있습니다. 편관, 편재가 육합이 됩니다. 관성과 재성이 합이 되어 서로의 발이 묶여버리고 한 가지가 쭉 치고나가기 어렵게 됩니다. 물론, 장점도 있는데 육합이 되었을 때 충(沖)이 오면 잘 버티게 되기는 합니다.   하지만, 관성이 하나가 있을 때 더 순일하고 높은 자리로 갈 수가 있지만 육합으로 묶여버리게 되었을 때 굉장히 답답한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월주는 부모형제의 자리이고 일주는 나자신, 배우자 자리 입니다. 이렇게 되면 어쩔 수 없이 부모님 때문에 집에 왕래할 일이 잦거나 아이를 부모님에게 맡기던지 해서 자주 왕래를 하게 됩니다. 아니면, 부모님의 건강이 안좋아서 나와 배우자가 부모님을 계속 신경을 써야 하기도 합니다. 부모님이 나에 대해 집착을 하거나 지나친 사랑을 주기도 합니다. 나도 부모님과 떨어지는데에 별 생각을 안할 수 있고요. 그래서, 내가 독립적이지 못하고 부모님과 엮여서 나이를 먹어도 한 집안에서 지내게 될 수도 있습니다. ◎戊◎◎ 亥寅亥◎ 이렇게 되면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할까요? 부모형제 자리도 마찬가지고 자녀의 자리, 수하인의 자리에도 합이 생기게 됩니다. 그럼 부모자식에 대한 지나친 사랑, 애정 등으로 내가 온전히 발전하기 어...

[로운사주명리] 이론으로 설명이 어려운 명리학의 뒷면



[로운사주명리] 이론으로 설명이 어려운 명리학의 뒷면


명리학은 기본적으로 학문입니다. 그런데 공부를 하다보면 학문적으로 풀리지 않는 의문점이 필히 발생을 하게 됩니다. 학문적으로 막히는 부분이랄까요? 그게 바로 유형/무형의 논리입니다. 예를 들어서 정관이 입묘하게 되면 여성의 입장에서는 남자덕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남편이 무능력해서 1인분을 못하거나... 애정사의 변형이 발생해서 바람을 피운다거나 사랑을 안주거나...건강을 잃어서 몸져 누워있는 남편이 되거나...이런식으로 남자의 덕을 잃고 못 받게 됩니다. 일반적으로는요. 

그런데 결혼을 한 부부를 놓고보면 관성이 입묘가 되었는데도 잘 살고 있는 부부가 있더란겁니다. 이게 바로 데이터가 튀는 값이 됩니다. 이 튀는 값을 놓고보면 남편이 귀신같은 모양으로 살고 있으면 부부 모양의 유지가 가능합니다. 

완전한 모양이 아닌 어딘가 허결하게 지내서 더 큰 흉이나 화를 피해가는 방법이 됩니다. 음, 뭐 이런 말이 있죠? 살을 주고 뼈를 취한다! 라고 하죠?ㅎㅎ부부는 원래 동거를 하는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이것은 서로 엄청난 기운의 공여가 일어나게 됩니다. 

그러나, 한 쪽이 떨어져 지낸다던가 주말부부를 한다던가 기러기 형태로 지내게 되면 부부의 형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는 겁니다. 동거를 구하지 않고 한 쪽이 무대 뒤로 귀신처럼 사는 모양이 되면 부부형태를 잘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는 거죠. 

또 다른 방법으로는 둘 다 해외로 가있는 겁니다.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바다건너 해외는 말그대로 外가 됩니다. 그래서 심판자의 눈을 속이고 안보이게 만들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입묘의 흉을 많이 피해가게 됩니다. 입묘가 된다는 것을 한번 생각해보세요. 

입묘는 물상적으로 무덤속으로 들어간 모양새가 됩니다. 그러니, 이렇게 눈으로 보면 안보입니다. 입묘가 된 환경을 조성하면 모양을 잘 지킨거기 때문에 그대로 잘 넘어갈 수가 있습니다. 이것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흉을 피해갈 수가 있게 됩니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드러나면 '된통 맞는다' 이 얘깁니다. 그러니 드러나지 않되 안 보이도록 사는 형태를 취하면 됩니다. 중앙요직, 대기업 임원, 사업가, 도심에서 사회적으로 실력행사를 하는 사람? 이게 입묘 맞으면 다 골로 가버리는 겁니다. 생각해보세요 대기업 임원은 아주 잘 보이잖아요. 삼성 임원, LG 임원 등등... 세속적이니 밖에서 보면 너무너무 잘 보이죠~?

그러니, 귀신처럼 살면 흉을 피해간다는 겁니다. 다른 또 다른 방법으로는 활인업자가 되면 액땜을 크게 하게 됩니다. 활인업자는 심판자의 눈에서 볼 때 좋은 일을 하는 놈입니다. 남을 살리고 알려주고 구도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죠. 그러니 활인업을 하는 놈은 면죄부를 주게 됩니다. 

또 뭐가 있더라? 아, 오늘내일 하는 일이 똑같은 사람도 귀신같이 사는 모양이 됩니다. 심판자의 눈에는 오늘 내일 하는 일이 반복, 반복 똑같이 하는 사람은 튀질 않아서 안보이는게 인정이 됩니다. 이것은 뭐, 학문적으로 완전히 논리적으로 서술할 부분이 아니라서 안 믿는 사람도 많을 겁니다. 하지만, 뭐 임상을 해보면 알 수 있는 부분이라...받아들일 사람만 받아들이면 됩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