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사주에서 합(合)이라는 것이 있으면 좋은가? 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합이라는 것은 어감상으로는 참 좋은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 합운에는 살림살이가 늘어나기도 하고 이성운이 증가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합이라는 것은 그만큼 파이가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신경쓸게 많아지기도 하고 내 손발이 여러번 번거로워지기도 합니다. 합이 되면 합화물이 생기게 됩니다. 합은 증가, 결속, 생산, 확장 등을 말하는데 남녀가 만나서 아이를 생산하는 것도 합화물이라고 볼 수가 있겠죠. 그리고, 년월에 합이 붙으면 직장에서 동료들과 프로젝트를 새로 진행을 하기도 하고 주업, 부업을 확장하기도 할 수 있겠습니다. ◎戊◎◎ ◎寅亥◎ 지지가 인해합(육합)으로 되어있습니다. 편관, 편재가 육합이 됩니다. 관성과 재성이 합이 되어 서로의 발이 묶여버리고 한 가지가 쭉 치고나가기 어렵게 됩니다. 물론, 장점도 있는데 육합이 되었을 때 충(沖)이 오면 잘 버티게 되기는 합니다.   하지만, 관성이 하나가 있을 때 더 순일하고 높은 자리로 갈 수가 있지만 육합으로 묶여버리게 되었을 때 굉장히 답답한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월주는 부모형제의 자리이고 일주는 나자신, 배우자 자리 입니다. 이렇게 되면 어쩔 수 없이 부모님 때문에 집에 왕래할 일이 잦거나 아이를 부모님에게 맡기던지 해서 자주 왕래를 하게 됩니다. 아니면, 부모님의 건강이 안좋아서 나와 배우자가 부모님을 계속 신경을 써야 하기도 합니다. 부모님이 나에 대해 집착을 하거나 지나친 사랑을 주기도 합니다. 나도 부모님과 떨어지는데에 별 생각을 안할 수 있고요. 그래서, 내가 독립적이지 못하고 부모님과 엮여서 나이를 먹어도 한 집안에서 지내게 될 수도 있습니다. ◎戊◎◎ 亥寅亥◎ 이렇게 되면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할까요? 부모형제 자리도 마찬가지고 자녀의 자리, 수하인의 자리에도 합이 생기게 됩니다. 그럼 부모자식에 대한 지나친 사랑, 애정 등으로 내가 온전히 발전하기 어...

[로운사주명리] 10천간의 운동



[로운사주명리] 10천간의 운동


천간은 10개로 되어있으며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따로따로 보지말고 하나의 운동으로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甲은 첫번째니까 1등, 대장, CEO...戊는 다섯번째고 넓은 산맥을 말하니까 포용력이 좋고..이렇게 외우기보다는 하나로 이어져있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 甲은 가장 첫번째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것은 아무것도 없던 땅에서 자그맣게 싹이 모습을 드러낸 것입니다. 눈에만 안보일뿐이지 사실 땅 속에는 뿌리가 있죠. 이 갑목은 최초의 생각이자 아이디어가 되며 마인드가 됩니다.

그리고 이 싹은 점차 지속적으로 자라나서 나중에는 거목이 됩니다. 봄이 되면 싹이 자라나기 시작하고 생명의 기운이 왕성해지게 되죠.

갑목은 직선운동으로 최초의 생각이라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리고 乙은 이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고 기획, 수정, 설계하고 다듬게 됩니다. 그리고 丙이 되면 구체화시킨 기획을 의도를 가지고 드러냅니다. 그 동안 가다듬은 기획안들을 공식적으로 세상에 드러냅니다.

그리고 丁이 되면 어둠 속을 구석구석 낱낱이 밝히는 작용을 합니다. 丁일간들이 횃불, 화로, 촛불 등에 비유되는 이유가 丙이 만물에 태양빛을 내리쬐면서 빛으로 밝혀준다면 丁은 그늘에 가려진 곳조차도 샅샅이 밝혀준다는 의도에 있습니다. 여름철 태양볕은 아주 그 열기가 강렬하고 뜨겁습니다. 

그리고 戊己운동은 火에서 점차 꺾여들어가면서 수평운동을 하게됩니다. 이제 곡선운동을 멈추고 수평운동을 하면서 내리막을 준비하게 됩니다. 수평운동을 하므로 그 자체로 중립적입니다. 서로서로를 연결해주는 중개를 하기도 한다고 봅니다. 계절을 환기 시켜주는 환절기를 의미합니다. 

庚부터는 이제 수렴하고 수확하려는 동작을 취하게 됩니다. 이제 과정을 거쳤으니 결과물을 손에 넣고자 하고 결실을 보려고 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는 강제적인 물리력이 동반되는데 모체에서 열매를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강제력이 동원됩니다. 손으로 쥐는 동작, 열매를 모체로부터 떼어내는 동작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金을 단절, 이별이라고도 보지요. 

辛이 되면 이제 상품화가 시작된 것입니다. 辛은 그 자체로 가치있는 물건이자 보석이 됩니다. 庚이 열매를 따는 동작을 취했다면 이제 辛은 열매를 포장해서 상품화를 시켜서 그 자체로 가치있는 물건이 됩니다. 

壬은 차가운 겨울땅이 되는데 펼치고 상승하는 火와 다르게 안으로 숨고 수렴하는 기운입니다. 壬은 태초의 씨앗으로 돌아가버리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바깥 세상과 단절을 하기도 하고 자신만의 세상으로 숨기도 합니다. 

그래서, 壬을 별종이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의사 집안에서 예술가가 나오는거나 마찬가지입니다. 다음 싸이클의 시작인 甲을 위해 다시 씨앗으로 돌아가서 저장하고 수렴하는 것입니다.

癸가 되면 이제 세상밖으로 나올 준비를 마친 상태가 됩니다. 아직 드러나지는 않은 상태이지만 단단한 껍질을 깨고 나오기 직전의 상태가 됩니다. 그래서, 癸는 새로운 시작의 바로 전 상태이기 때문에 희망적이고 낙천적입니다. 癸를 수증기, 이슬, 식수 등 생명의 잉태라고 보는것이 이런 이유에서 입니다. 

이 모든 천간의 운동을 하나의 주기로 이어서보면 좀 더 도움이 되실것 같아서 포스팅을 준비해봤습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