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사주에서 합(合)이라는 것이 있으면 좋은가? 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합이라는 것은 어감상으로는 참 좋은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 합운에는 살림살이가 늘어나기도 하고 이성운이 증가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합이라는 것은 그만큼 파이가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신경쓸게 많아지기도 하고 내 손발이 여러번 번거로워지기도 합니다. 합이 되면 합화물이 생기게 됩니다. 합은 증가, 결속, 생산, 확장 등을 말하는데 남녀가 만나서 아이를 생산하는 것도 합화물이라고 볼 수가 있겠죠. 그리고, 년월에 합이 붙으면 직장에서 동료들과 프로젝트를 새로 진행을 하기도 하고 주업, 부업을 확장하기도 할 수 있겠습니다. ◎戊◎◎ ◎寅亥◎ 지지가 인해합(육합)으로 되어있습니다. 편관, 편재가 육합이 됩니다. 관성과 재성이 합이 되어 서로의 발이 묶여버리고 한 가지가 쭉 치고나가기 어렵게 됩니다. 물론, 장점도 있는데 육합이 되었을 때 충(沖)이 오면 잘 버티게 되기는 합니다.   하지만, 관성이 하나가 있을 때 더 순일하고 높은 자리로 갈 수가 있지만 육합으로 묶여버리게 되었을 때 굉장히 답답한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월주는 부모형제의 자리이고 일주는 나자신, 배우자 자리 입니다. 이렇게 되면 어쩔 수 없이 부모님 때문에 집에 왕래할 일이 잦거나 아이를 부모님에게 맡기던지 해서 자주 왕래를 하게 됩니다. 아니면, 부모님의 건강이 안좋아서 나와 배우자가 부모님을 계속 신경을 써야 하기도 합니다. 부모님이 나에 대해 집착을 하거나 지나친 사랑을 주기도 합니다. 나도 부모님과 떨어지는데에 별 생각을 안할 수 있고요. 그래서, 내가 독립적이지 못하고 부모님과 엮여서 나이를 먹어도 한 집안에서 지내게 될 수도 있습니다. ◎戊◎◎ 亥寅亥◎ 이렇게 되면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할까요? 부모형제 자리도 마찬가지고 자녀의 자리, 수하인의 자리에도 합이 생기게 됩니다. 그럼 부모자식에 대한 지나친 사랑, 애정 등으로 내가 온전히 발전하기 어...

[로운사주명리] 편재대운의 위험성


 [로운사주명리] 편재대운의 위험성


제목이 좀 이상하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재성운은 원래 그냥 다 좋은 거 아니야??" 라고 생각이 드실 수 있거든요. 사실 맞는 말이기도 합니다. 재성운에는 내가 일할 환경 또는 터전이 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한량, 입원자, 수감자 등을 제외하고는 돈을 버는 운이거든요. 

특히, 편재라는 것은 한 번에 크게 당겨오는 돈을 말하기도 하기 때문에 사업을 벌이던지 해서 한탕 크게 벌 수 있는 십신입니다. 이 편재대운이라는 것은 어쨌든 내가 수익을 크게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기 때문에 돈 버는 운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제목에는 왜 '위험성' 이라는 말을 붙였느냐~? 편재는 말그대로 편(扁)을 쓰기 때문입니다. 음양의 조화가 되어있는 정(正)과는 달리 한 쪽으로 치우쳐진 음양이기 때문에 '한 번에 크게 얻고 크게 잃는다' 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나, 이번에 가수 제시의 사례를 보면서 느끼는 부분입니다. 그 분의 사주를 보면 현재가 편재대운입니다. 장사의 신 은현장 님의 사주도 구설수로 급격히 평판이 기울어진 것이 편재대운입니다. 금金은 그 자체로 현금을 말합니다. 특이하게도 둘 다 火일간입니다

금金은 그 자체로 현금을 말하게되니 火일간들은 실속을 매우 잘 챙길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현금은 그 자체로 살기가 되는데 金편재대운이니 엄청나게 살기가 득실거리는 대운이 되지요. 천국과 지옥을 오가게 되는 등 변동성이 매우 큰 폭으로 불안정하게 됩니다. 

자의론적으로보면 금기운을 사용하게되니 그만큼 편재라는 십신과 금기운이라는 살기가 더해져서 시너지가 더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편재대운에는 한 번에 크게 얻지만 한 번에 크게 잃게 되므로 현금을 그냥 놔둬서는 절대 안됩니다. 반드시 문서로 변경해 놓던지 현금이 안 보이게 문서로 잘 숨겨놔야 합니다. 

정재대운은 음양이 잘 안정되어 있으니 편재대운같은 역동성이 떨어지는 대신에 안정성이 커서 리스크가 적습니다. 대신 변화가 없고 역동성이 떨어지게 되니 편재같은 짜릿함은 없는 편입니다. 그래도, 안정성을 중요시하는 음간 같은 경우에는 정재를 더 반길 수 있습니다. 양간같은 경우에는 편재를 보면 아주 좋아합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