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사주에서 합(合)이라는 것이 있으면 좋은가? 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합이라는 것은 어감상으로는 참 좋은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 합운에는 살림살이가 늘어나기도 하고 이성운이 증가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합이라는 것은 그만큼 파이가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신경쓸게 많아지기도 하고 내 손발이 여러번 번거로워지기도 합니다. 합이 되면 합화물이 생기게 됩니다. 합은 증가, 결속, 생산, 확장 등을 말하는데 남녀가 만나서 아이를 생산하는 것도 합화물이라고 볼 수가 있겠죠. 그리고, 년월에 합이 붙으면 직장에서 동료들과 프로젝트를 새로 진행을 하기도 하고 주업, 부업을 확장하기도 할 수 있겠습니다. ◎戊◎◎ ◎寅亥◎ 지지가 인해합(육합)으로 되어있습니다. 편관, 편재가 육합이 됩니다. 관성과 재성이 합이 되어 서로의 발이 묶여버리고 한 가지가 쭉 치고나가기 어렵게 됩니다. 물론, 장점도 있는데 육합이 되었을 때 충(沖)이 오면 잘 버티게 되기는 합니다.   하지만, 관성이 하나가 있을 때 더 순일하고 높은 자리로 갈 수가 있지만 육합으로 묶여버리게 되었을 때 굉장히 답답한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월주는 부모형제의 자리이고 일주는 나자신, 배우자 자리 입니다. 이렇게 되면 어쩔 수 없이 부모님 때문에 집에 왕래할 일이 잦거나 아이를 부모님에게 맡기던지 해서 자주 왕래를 하게 됩니다. 아니면, 부모님의 건강이 안좋아서 나와 배우자가 부모님을 계속 신경을 써야 하기도 합니다. 부모님이 나에 대해 집착을 하거나 지나친 사랑을 주기도 합니다. 나도 부모님과 떨어지는데에 별 생각을 안할 수 있고요. 그래서, 내가 독립적이지 못하고 부모님과 엮여서 나이를 먹어도 한 집안에서 지내게 될 수도 있습니다. ◎戊◎◎ 亥寅亥◎ 이렇게 되면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할까요? 부모형제 자리도 마찬가지고 자녀의 자리, 수하인의 자리에도 합이 생기게 됩니다. 그럼 부모자식에 대한 지나친 사랑, 애정 등으로 내가 온전히 발전하기 어...

[로운사주명리] 12신살 반대그룹 '역재월'의 역할

 


[로운사주명리] 12신살 반대그룹 '역재월'의 역할


  • 역마살, 재살, 월살

저번 포스팅에서는 동일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았죠? 오늘은 반대그룹인 역마살-재살-월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일그룹인 지살-장성살-화개살의 반대그룹이기 때문에 완전히 궤도를 달리합니다. 마치 물과 기름같은 사이랄까요?

그래서, 둘은 절대로 섞일 수가 없게 됩니다. 이것을 현실로 풀어보자면 완전히 다른 사고방식, 완전히 다른 습관, 완전히 다른 이상 등이 됩니다. 그러니까 적응이 안되고 항상 낯선 느낌을 받게 됩니다. 

내 입장에서 역마살이 되는 관계라면 둘 중 하나는 떠나야 합니다. 같은 공간에 있으면 하나는 사라져야만 합니다. 만약에, 부하직원이 역마살이라면? 나에게는 멀리 떨어져 있는 직원이 됩니다. 떨어져 있으면서 전보역할을 하는 부하직원이 됩니다. 또는 밖에 나가서 영업활동을 하는 부하직원입니다. 

내 입장에서 재살이 되는 관계라면 서로가 긴장하는 상태가 됩니다. 각 왕지끼리 沖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피해가 막심합니다. 그래서, 항상 서로를 흘겨보게 되는데 서로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눈치를 보면서 꾀를 내야만 합니다. 

그러니, 각 왕지끼리는 매우 불편한 관계가 됩니다. 서로가 한 공간에 있을 수가 없어요. 예를 들어서 내가 卯띠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상대가 酉띠라고 가정해 보자구요? 亥卯未와 巳酉丑 이 관계에서 卯酉沖이 발생하게 되므로 부딪혀서 깨지게 됩니다.

왕지끼리의 충이니 아주 끝장을 보는 셈이죠. 그 피해가 막심하므로 이 피해를 막기 위해서 두뇌회전이 풀가동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공부하는 입장에서는 재살을 좋게 보게 되죠. 직장상사가 재살 띠라면 같은 공간에 있기가 매우 힘듭니다.

다음으로, 내 입장에서 월살이 되는 관계라면 다른 방식, 다른 습관으로 인해 불편함을 겪게 됩니다. 하지만 월살은 조금 다른데 내가 월살띠에게 이득을 보거나 혜택을 입게 됩니다.

월살은 후원, 복지, 증여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월살은 '고초살'이라고도 불리는데 달빛에 의존한채 걷는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런데 달빛마저 없으면 어떻게 되겠어요? 아무것도 안보이겠죠?

그러니 달(月)이라는 것은 내가 믿고 의지하는 등대같은 존재라는 거예요. 내가 헤택을 볼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래서 월살띠에게는 혜택을 입게 됩니다. 하지만 역시 근본적으로는 불편한 관계이니 장기간의 관계는 불리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