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사주에서 합(合)이라는 것이 있으면 좋은가? 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합이라는 것은 어감상으로는 참 좋은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 합운에는 살림살이가 늘어나기도 하고 이성운이 증가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합이라는 것은 그만큼 파이가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신경쓸게 많아지기도 하고 내 손발이 여러번 번거로워지기도 합니다. 합이 되면 합화물이 생기게 됩니다. 합은 증가, 결속, 생산, 확장 등을 말하는데 남녀가 만나서 아이를 생산하는 것도 합화물이라고 볼 수가 있겠죠. 그리고, 년월에 합이 붙으면 직장에서 동료들과 프로젝트를 새로 진행을 하기도 하고 주업, 부업을 확장하기도 할 수 있겠습니다. ◎戊◎◎ ◎寅亥◎ 지지가 인해합(육합)으로 되어있습니다. 편관, 편재가 육합이 됩니다. 관성과 재성이 합이 되어 서로의 발이 묶여버리고 한 가지가 쭉 치고나가기 어렵게 됩니다. 물론, 장점도 있는데 육합이 되었을 때 충(沖)이 오면 잘 버티게 되기는 합니다.   하지만, 관성이 하나가 있을 때 더 순일하고 높은 자리로 갈 수가 있지만 육합으로 묶여버리게 되었을 때 굉장히 답답한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월주는 부모형제의 자리이고 일주는 나자신, 배우자 자리 입니다. 이렇게 되면 어쩔 수 없이 부모님 때문에 집에 왕래할 일이 잦거나 아이를 부모님에게 맡기던지 해서 자주 왕래를 하게 됩니다. 아니면, 부모님의 건강이 안좋아서 나와 배우자가 부모님을 계속 신경을 써야 하기도 합니다. 부모님이 나에 대해 집착을 하거나 지나친 사랑을 주기도 합니다. 나도 부모님과 떨어지는데에 별 생각을 안할 수 있고요. 그래서, 내가 독립적이지 못하고 부모님과 엮여서 나이를 먹어도 한 집안에서 지내게 될 수도 있습니다. ◎戊◎◎ 亥寅亥◎ 이렇게 되면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할까요? 부모형제 자리도 마찬가지고 자녀의 자리, 수하인의 자리에도 합이 생기게 됩니다. 그럼 부모자식에 대한 지나친 사랑, 애정 등으로 내가 온전히 발전하기 어...

[로운사주명리] 설기와 극의 개념

 



[로운사주명리] 설기와 극의 개념


설기와 극의 개념은 기초적인 요소이면서 필수적인 개념이므로 이번 포스팅에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설기된다는 것은 생(生)을 해주는 오행의 힘이 빠져나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甲丙丁

◎午午◎

이런 구조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오행적으로 봤을 때 일간인 갑목은 불인 丙, 丁, 午를 생(生)해주게 되는데요.

일간인 나의 세력이 하나도 없는데 갑목은 火에게 자신의 에너지를 나누어주어야 합니다. 육신으로는 식상이 되겠죠?

이럴 때는 내 기운이 너무 많이 빠져나가게되므로 일간의 힘이 매우 약해지게 됩니다. 그래서 건강운적으로 봤을 때 木기운에 해당하는 부위가 매우 약해지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여러모로 분주하기는 한데...거뭐질 수 있는 힘이 약해서 용두사미로 끝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기저기 기웃기웃거리는건 잘하고 호기심이 매우 많지만 실질적으로 얻어가는 것은 적다는 이야기죠.

이것은 굳이 설기되어서 그렇다고 보기보다는 음양의 균형이 무너져서 그렇다는 개념으로 접근하는게 좋습니다. 식상이 많으면 결과물인 재성이 있어야 하고 식상을 적절히 억눌러 줄 수 있는 관성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그냥 척보면 척 알아야 하는 것이죠. 사주를 그림처럼 보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이럴 때는 수기운이 들어와주어서 일간인 木을 생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은 용신론적인 관점이기는 한데 건강운적으로는 일간용신법이 상당히 쓸만하거든요.

그리고 수기운이 들어와주게 되면 상관을 억누를 수 있는 인성이 들어와주므로 음양적인 개념으로 안정이 됩니다.

그렇다면 극이란 것은 또 무엇일까요?

◎甲庚辛

◎申申◎

극이라는 것은 상극을 말하는데, 목을 극하는것은 금이 됩니다. 즉, 관성이 됩니다. 관성이 너무 많아서 일간이 극을 당하게 되는 것인데요.

쉽게 말해서 갑목(나무)을 경금, 신금(도끼)으로 후두려팬다고 보면 이해가 빠릅니다. 일간이 매우 위태롭죠. 나를 통제하고 옭아매는 금기운이 너무 많으니 섣불리 움직일 수가 없습니다. 그랬다간 도끼질이 사방에서 날아오겠죠?

그래서, 주변의 눈치를 잘 보게 되고 스트레스에 매우 취약하게 됩니다. 질병에도 취약하게 됩니다. 설기와 마찬가지로 일간인 甲의 부위가 선천적으로 매우 취약하게 됩니다.

이 정도쯤 되면 甲인 木이 버텨낼 재간이 없으므로 해당 오행이 지지에 하나라도 있어주면 좋습니다. 그럼 이런 사주들은 망한 사주일까??

그런 개념으로 접근하면 사주 공부를 빙 돌아가게 되므로 있는 그대로 봐야 합니다. 이럴 때는 해당 간지인 火와 金을 따라서 직업을 가지면 좋습니다.

사주 내에서 설기를 하는 작용인 火와 극하는 작용인 金이 사주내에 드러난 글자이므로 이 해당글자들을 쓰면서 살아가면 됩니다.

용신법으로는 없는 것을 쓰라고 하지만 실은 그렇게 하면 안됩니다. 거꾸로 가는 거거든요. 사람은 사주 내에 드러나지 않은 것을 잘 쓰질 못합니다. (다뤄본 적이 없기 때문에)

팔자에 드러난 글자를 잘 쓰기만해도 괜찮습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