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사주에서 합(合)이라는 것이 있으면 좋은가? 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합이라는 것은 어감상으로는 참 좋은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 합운에는 살림살이가 늘어나기도 하고 이성운이 증가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합이라는 것은 그만큼 파이가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신경쓸게 많아지기도 하고 내 손발이 여러번 번거로워지기도 합니다. 합이 되면 합화물이 생기게 됩니다. 합은 증가, 결속, 생산, 확장 등을 말하는데 남녀가 만나서 아이를 생산하는 것도 합화물이라고 볼 수가 있겠죠. 그리고, 년월에 합이 붙으면 직장에서 동료들과 프로젝트를 새로 진행을 하기도 하고 주업, 부업을 확장하기도 할 수 있겠습니다. ◎戊◎◎ ◎寅亥◎ 지지가 인해합(육합)으로 되어있습니다. 편관, 편재가 육합이 됩니다. 관성과 재성이 합이 되어 서로의 발이 묶여버리고 한 가지가 쭉 치고나가기 어렵게 됩니다. 물론, 장점도 있는데 육합이 되었을 때 충(沖)이 오면 잘 버티게 되기는 합니다.   하지만, 관성이 하나가 있을 때 더 순일하고 높은 자리로 갈 수가 있지만 육합으로 묶여버리게 되었을 때 굉장히 답답한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월주는 부모형제의 자리이고 일주는 나자신, 배우자 자리 입니다. 이렇게 되면 어쩔 수 없이 부모님 때문에 집에 왕래할 일이 잦거나 아이를 부모님에게 맡기던지 해서 자주 왕래를 하게 됩니다. 아니면, 부모님의 건강이 안좋아서 나와 배우자가 부모님을 계속 신경을 써야 하기도 합니다. 부모님이 나에 대해 집착을 하거나 지나친 사랑을 주기도 합니다. 나도 부모님과 떨어지는데에 별 생각을 안할 수 있고요. 그래서, 내가 독립적이지 못하고 부모님과 엮여서 나이를 먹어도 한 집안에서 지내게 될 수도 있습니다. ◎戊◎◎ 亥寅亥◎ 이렇게 되면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할까요? 부모형제 자리도 마찬가지고 자녀의 자리, 수하인의 자리에도 합이 생기게 됩니다. 그럼 부모자식에 대한 지나친 사랑, 애정 등으로 내가 온전히 발전하기 어...

[로운사주명리] 부모운 보는 방법

 



[로운사주명리] 부모운 보는 방법


부모운은 현대사회에서 매우 중요하죠. 부모를 잘 만나느냐 못 만나느냐에 따라 삶이 휙휙 바뀌기도 하니까요~ 그래서 오늘은 부모운 보는방법을 한번 준비해봤습니다. 부모운을 보려면 일단 월주를 봐야 합니다. (부모형제궁은 월주입니다.)

월간은 아버지로 보고 월지를 어머니로 칭하기도 하지만 솔직히 순서는 별 상관이 없습니다. 우선, 인성은 어머니이고 재성은 아버지가 됩니다. 그리고 정인은 친어머니(제대로 어머니 역할을 하는 구조)라고 하기도 하지만 굳이 친어머니, 새어머니라고 외울 필요는 없어요.

편인이면 반쪽짜리 역할을 하는 어머니, 정인이면 온전히 제 역할을 하는 어머니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재성은 아버지인데...정재를 제대로 된 아버지라고 여기는 분들이 많은 걸로 압니다. (정재니까?) 하지만, 진정한 아버지는 정재가 아닌 편재가 됩니다.

왜냐하면 우주는 음양으로 되어있잖아요. 사주명리에서는 음양을 최우선의 원칙으로 여기게 되므로, 정인의 짝꿍은 정재가 아니라 편재가 됩니다.

자, 이 개념을 이제 이해하셨다면...온전한 부모님의 역할을 하는 것은 월주에 편재, 정인이 제대로 박혀있으면 정말 부모님의 혜택을 온전하게 받게 됩니다. 정서적으로든 경제적으로든 둘 중 하나는 받게 됩니다. 경제적으로 잘 못해주면 정신적으로라도 부모 역할을 채워주게 됩니다.

하지만, 가만보면 이런 구조가 많지가 않습니다. 년주로 튀어나가든지 일주로 튀어나가던지 재성이나 인성이 나가있단 말이죠. 대부분의 사주가 그렇습니다.

그래서 부모님의 역할이 불안정하게 됩니다. (부모님이 너무 엄격하던가, 두 분이 얼굴을 잘 안보고 살거나, 자주 다투거나, 편부모 가정이거나, 둘 중 한 분이 아프시거나, 아버지나 어머니가 두 분 이던지 말이죠.)

우리네 인생의 대부분의 사주가 그렇습니다. 아무튼 십신으로 한번 풀어보도록 하죠.


  • 월지에 비겁이 있을 때


성장과정에서 경제적인 혜택을 주기보다는 정신적으로 단련?을 시켜주는 부모님일 경우가 많습니다. 월지가 비겁이면 자수성가 사주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어려서부터 가난해서 혼자 독립적으로 돈을 알아서 벌던가...세상과 부딪히면서 "반드시 지긋지긋한 가난을 내 손으로 끝내리라~" 울며 다짐하며 성장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온실속 화초가 되질 않고 야생마가 됩니다. 월지가 비겁인데 경제적으로 풍족하다면 형제들과 나눠먹을게 많다는 이야기도 됩니다. 아니면 부모님이 해외로 나가있던지 말이죠. 월지 비겁은 일찍 철이 들며 세상과 부딪히면서 독립적으로 성장할 힘을 얻게 됩니다. 


  • 월지에 식상이 있을 때

월지 식상은 성장과정에서 부모님께 받을 복이 많게 됩니다. 월지에 식신이 있으면 유산이라던가 상속이라던가 물려 받을 게 있다는 말이 됩니다. 아니면, 끼와 재능을 받았다던지 말이죠. 월지 식신은 대체로 좋게 보기는 한데 월지 상관은 좀 이야기가 다릅니다. 월지 상관은 부모님께 복을 엄청 받거나, 아니면 폭망하던가 둘 중에 하나입니다. 그래서 성장하게 되면 반드시 부모님 품을 떠나야만 합니다. 안그러면 계속 부모님 수발을 들던가 돈을 갖다 바쳐야 하기도 하거든요.

  • 월지에 관성이 있을 때

부모님께 간섭과 통제를 받으면서 성장하게 됩니다. 정관은 체면, 명예를 중시하는 가정에서 자랐다는 말이 됩니다. 주로, 합리적인 방식으로 적당~히 간섭과 통제를 가하게 됩니다. 그래서 가정교육을 잘 받으면서 자라기도 해요. 반대로 편관은 매우 혹독하다시피 엄격하거나 가혹한 가정환경에서 자랐다고 봅니다. 경제적으로 매우 가난해서 성장과정에서 핍박을 받았다고 보기도 합니다. 편관은 마치 통금 시간이 10시로 정해져 있는데 여기서 1~2분이라도 늦게되면 아버지가 눈이 시뻘개져서 불호령을 하거나 맴매를 하는 모습입니다. 편관은 경제적으로는 문제가 없는데 매우 엄격한 부모님을 두었거나 아니면 경제적으로 폭망해서 성장과정이 혹독하다고 보기도 합니다.

  • 월지에 인성이 있을 때

주로 부모님께 학문을 탐구해야 하는 가르침을 받았다고 봅니다. 연구, 논문, 박사, 학위 등 자격과 면허를 추구하는 성장과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마치 부모님이 교수인데 나도 그런 길을 걷는다는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정인은 합리적인 방식으로 가지만 편인은 경제적으로 핍박을 받는 환경에서 스스로 자라나야 한다고 보기도 합니다. 편인은 식신을 극하기 때문에 받을 복을 없애버리던가 아주 가난한 집에서 태어날 수도 있습니다. 

  • 월지에 재성이 있을 때

정재와 편재가 좀 다릅니다. 편재는 제대로 된 아버지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아버지로부터 받을 게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편재이므로 그 혜택이 불안정합니다. 엄청난 사업가 아버지이지만 막상 내가 유산을 타먹을 때가 되어서 보니 생각한것보다 별로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정재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가정환경에서 자랐다고 판단합니다. 정재는 안정적인 재물이면서 꾸준한 것을 말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모친과의 불화가 있거나 아버지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건 아주 유용한 꿀팁이므로 잘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