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사주에서 합(合)이라는 것이 있으면 좋은가? 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합이라는 것은 어감상으로는 참 좋은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 합운에는 살림살이가 늘어나기도 하고 이성운이 증가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합이라는 것은 그만큼 파이가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신경쓸게 많아지기도 하고 내 손발이 여러번 번거로워지기도 합니다. 합이 되면 합화물이 생기게 됩니다. 합은 증가, 결속, 생산, 확장 등을 말하는데 남녀가 만나서 아이를 생산하는 것도 합화물이라고 볼 수가 있겠죠. 그리고, 년월에 합이 붙으면 직장에서 동료들과 프로젝트를 새로 진행을 하기도 하고 주업, 부업을 확장하기도 할 수 있겠습니다. ◎戊◎◎ ◎寅亥◎ 지지가 인해합(육합)으로 되어있습니다. 편관, 편재가 육합이 됩니다. 관성과 재성이 합이 되어 서로의 발이 묶여버리고 한 가지가 쭉 치고나가기 어렵게 됩니다. 물론, 장점도 있는데 육합이 되었을 때 충(沖)이 오면 잘 버티게 되기는 합니다.   하지만, 관성이 하나가 있을 때 더 순일하고 높은 자리로 갈 수가 있지만 육합으로 묶여버리게 되었을 때 굉장히 답답한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월주는 부모형제의 자리이고 일주는 나자신, 배우자 자리 입니다. 이렇게 되면 어쩔 수 없이 부모님 때문에 집에 왕래할 일이 잦거나 아이를 부모님에게 맡기던지 해서 자주 왕래를 하게 됩니다. 아니면, 부모님의 건강이 안좋아서 나와 배우자가 부모님을 계속 신경을 써야 하기도 합니다. 부모님이 나에 대해 집착을 하거나 지나친 사랑을 주기도 합니다. 나도 부모님과 떨어지는데에 별 생각을 안할 수 있고요. 그래서, 내가 독립적이지 못하고 부모님과 엮여서 나이를 먹어도 한 집안에서 지내게 될 수도 있습니다. ◎戊◎◎ 亥寅亥◎ 이렇게 되면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할까요? 부모형제 자리도 마찬가지고 자녀의 자리, 수하인의 자리에도 합이 생기게 됩니다. 그럼 부모자식에 대한 지나친 사랑, 애정 등으로 내가 온전히 발전하기 어...

[로운사주명리] 통근 및 투출의 이해



[로운사주명리] 통근 및 투출의 이해


사주팔자는 기본적으로 천간과 지지, 그리고 지장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천간은 정신, 이상, 생각, 무형, 상징물, 공公적인 영역을 말하는데요?

통근 이라는것은 천간과 지장간의 글자가 통(通)하였다는 말을 뜻합니다. 정신의 영역에서 생각만으로 그치지 않고 실제 유형물로 성취할 수 있는 실질적인 힘이 생긴 것입니다. 

말이 좀 어렵죠?

이해를 쉽게 돕기 위해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癸甲◎

◎◎寅◎

이런 글자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寅의 지장간으로는 戊丙甲 세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에는 본기인 甲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이 甲이 월간의 甲과 통(通)하였다는 것은... 월간의 甲과 지장간 寅의 甲이 하늘과 소통을 이루었다는 말이 됩니다. 그래서 월간의 甲은 지지에 준하는 힘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쉽게 말해서 세력을 얻었다고 표현을 합니다.

하지만, 지지에 실제로 있는 것과 통근을 해서 세력을 얻은 것은 차이가 있습니다. 지지에 '준' 할뿐이지 실제로 지지와 동급으로 쳐주지는 않습니다. 

그럼 투출(透出)은 무엇인가?

통근은 천간이 지장간과 소통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투출은 지장간의 글자가 천간과 소통을 한다는 뜻이 됩니다. 그러니까 그게 그 말입니다^^ 어려울 게 하나도 없습니다.

투출은 지지에 숨겨진 천간의 뜻과 실제 천간의 뜻이 맞닿았다는 뜻이 됩니다. 지금 예시를 든 것은 똑같은 월주에서 일어난 일이 됩니다. 

그러므로, 시간차가 발생하지 않고 곧바로 21~40세의 구간에서 발현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구조는 어떨까요?


◎癸甲◎

◎卯子◎


이런 구조에서는 일지에 甲이 숨겨져 있습니다. 월지의 子에 甲이 있나요? 없죠~ 그럼 월지가 투출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일지에는 甲이 있습니다. 이것도 투출로 인정이 됩니다. 그렇지만 일전의 예시와는 달리 나이를 먹고 나서 쓸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이 말인 즉슨 시간차가 발생한다는 것이죠.

일지이므로 41~60세 구간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해볼까요? 


◎癸甲◎

◎丑子◎


여기에는 투출이 되어있나요? 보시다시피 글자가 하나도 없습니다. 이런 경우엔 월간의 甲은 거의 실질적인 힘이 없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냥 없는것보다는 나은 정도가 됩니다. 써먹으려면 정신활동이나 무형으로밖에 못 쓰게 됩니다.

통근과 투출 어렵지 않죠?^^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