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사주에서 합(合)이라는 것이 있으면 좋은가? 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합이라는 것은 어감상으로는 참 좋은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 합운에는 살림살이가 늘어나기도 하고 이성운이 증가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합이라는 것은 그만큼 파이가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신경쓸게 많아지기도 하고 내 손발이 여러번 번거로워지기도 합니다. 합이 되면 합화물이 생기게 됩니다. 합은 증가, 결속, 생산, 확장 등을 말하는데 남녀가 만나서 아이를 생산하는 것도 합화물이라고 볼 수가 있겠죠. 그리고, 년월에 합이 붙으면 직장에서 동료들과 프로젝트를 새로 진행을 하기도 하고 주업, 부업을 확장하기도 할 수 있겠습니다. ◎戊◎◎ ◎寅亥◎ 지지가 인해합(육합)으로 되어있습니다. 편관, 편재가 육합이 됩니다. 관성과 재성이 합이 되어 서로의 발이 묶여버리고 한 가지가 쭉 치고나가기 어렵게 됩니다. 물론, 장점도 있는데 육합이 되었을 때 충(沖)이 오면 잘 버티게 되기는 합니다.   하지만, 관성이 하나가 있을 때 더 순일하고 높은 자리로 갈 수가 있지만 육합으로 묶여버리게 되었을 때 굉장히 답답한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월주는 부모형제의 자리이고 일주는 나자신, 배우자 자리 입니다. 이렇게 되면 어쩔 수 없이 부모님 때문에 집에 왕래할 일이 잦거나 아이를 부모님에게 맡기던지 해서 자주 왕래를 하게 됩니다. 아니면, 부모님의 건강이 안좋아서 나와 배우자가 부모님을 계속 신경을 써야 하기도 합니다. 부모님이 나에 대해 집착을 하거나 지나친 사랑을 주기도 합니다. 나도 부모님과 떨어지는데에 별 생각을 안할 수 있고요. 그래서, 내가 독립적이지 못하고 부모님과 엮여서 나이를 먹어도 한 집안에서 지내게 될 수도 있습니다. ◎戊◎◎ 亥寅亥◎ 이렇게 되면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할까요? 부모형제 자리도 마찬가지고 자녀의 자리, 수하인의 자리에도 합이 생기게 됩니다. 그럼 부모자식에 대한 지나친 사랑, 애정 등으로 내가 온전히 발전하기 어...

[로운사주명리] 신강사주 신약사주 구분 방법



 [로운사주명리] 신강사주 신약사주 구분 방법


저는 신강사주와 신약사주를 보는 포인트가 있는데 무대를 장악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느냐..? 를 봅니다. 그것을 제외하면 크게 중요하게 다루진 않습니다. '신강하면 좋다, 신약하면 나쁘다' 이런 말들은 하등 쓸데없는 말입니다. 

사주를 공부하시는 분들에게는 궁금하실만한 내용이니 우선 신강, 신약사주의 조건을 보겠습니다. 신강사주가 되려면 지지에 비겁이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인성이 있으면 신강하다고 하는데 인성은 나를 생해주는 성분이지 내가 주도하는 성분이 아닙니다.

포인트가 이해가 가시나요..? 내가 주체가 되는 것이 비겁입니다. 이 비겁은 천간에 있을 경우에는인정하지 않습니다. 오직 지지입니다. 

비겁의 자리는 년, 월, 일에 하나만 있어도 불약(不弱)하다고 봅니다. 그럼 두개 이상일때는? 신강하다고 봅니다. 세 개면 말 다했겠죠..?

시는 왜 빼냐하면, 말년의 자리이기도 하며 멀리 떨어진 외(外)적인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만약 비겁이 공망이 된다면 직업환경을 바꾸어야 합니다. 

비겁은 리더십, 지휘력, 장악력 등을 의미하는데 이게 공망이 되는것은 실체가 없는 장악력이란 의미입니다. 비겁은 나누어먹는 것을 말하는데 남들과 나누어먹는게 잘 안된다는 의미입니다.

이럴 때는, 혼자서 모든 것을 주도하는 1인 사업형태가 좋습니다. 그럼 신약사주는 무엇이냐..? 남들과의 협업, 동업, 협력 등을 통해 결과물을 얻는 방식을 말합니다.

신약사주라고 해서 안좋은 게 아닙니다. 신약사주이면서 부자들이 많이 계십니다. 신강, 신약을 둘로 나누고 길흉을 가르는 것은 아직 명리를 덜 깨우친 사람입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