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로운사주명리] 합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 사주에서 합(合)이라는 것이 있으면 좋은가? 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합이라는 것은 어감상으로는 참 좋은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 합운에는 살림살이가 늘어나기도 하고 이성운이 증가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합이라는 것은 그만큼 파이가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신경쓸게 많아지기도 하고 내 손발이 여러번 번거로워지기도 합니다. 합이 되면 합화물이 생기게 됩니다. 합은 증가, 결속, 생산, 확장 등을 말하는데 남녀가 만나서 아이를 생산하는 것도 합화물이라고 볼 수가 있겠죠. 그리고, 년월에 합이 붙으면 직장에서 동료들과 프로젝트를 새로 진행을 하기도 하고 주업, 부업을 확장하기도 할 수 있겠습니다. ◎戊◎◎ ◎寅亥◎ 지지가 인해합(육합)으로 되어있습니다. 편관, 편재가 육합이 됩니다. 관성과 재성이 합이 되어 서로의 발이 묶여버리고 한 가지가 쭉 치고나가기 어렵게 됩니다. 물론, 장점도 있는데 육합이 되었을 때 충(沖)이 오면 잘 버티게 되기는 합니다.   하지만, 관성이 하나가 있을 때 더 순일하고 높은 자리로 갈 수가 있지만 육합으로 묶여버리게 되었을 때 굉장히 답답한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월주는 부모형제의 자리이고 일주는 나자신, 배우자 자리 입니다. 이렇게 되면 어쩔 수 없이 부모님 때문에 집에 왕래할 일이 잦거나 아이를 부모님에게 맡기던지 해서 자주 왕래를 하게 됩니다. 아니면, 부모님의 건강이 안좋아서 나와 배우자가 부모님을 계속 신경을 써야 하기도 합니다. 부모님이 나에 대해 집착을 하거나 지나친 사랑을 주기도 합니다. 나도 부모님과 떨어지는데에 별 생각을 안할 수 있고요. 그래서, 내가 독립적이지 못하고 부모님과 엮여서 나이를 먹어도 한 집안에서 지내게 될 수도 있습니다. ◎戊◎◎ 亥寅亥◎ 이렇게 되면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할까요? 부모형제 자리도 마찬가지고 자녀의 자리, 수하인의 자리에도 합이 생기게 됩니다. 그럼 부모자식에 대한 지나친 사랑, 애정 등으로 내가 온전히 발전하기 어...

[로운사주명리] 십성(十星)의 이해2



[로운사주명리] 십성(十星)의 이해2


1편에 이어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재(正財) - 인간에게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의식주 활동을 말하며 안정을 의미하는 십신입니다. 인간의 삶을 안정되게 하고 안락하게 만들어 주는 성분입니다. 정재가 다루는 행동양식은 꼬박 나오는 월급재물에 해당합니다. 

더 나아가서 건물주에게는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무리한 투자, 투기, 모험을 싫어하며 안정적으로 재물을 불려가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운에서 정재가 들어와주면 안정적으로 활동무대를 넓혀갑니다. 40~50대 대운에 정재가 들어오면 평생 재물의 기틀을 마련하다고도 봅니다. 어지간해서 나쁜 상황은 가지 않습니다. 남자에게는 여성을 의미하므로 정재가 들어오면 이성운이 열린다고 봅니다. 


편재(扁財) - 정재가 월급소득을 의미한다면 편재는 사업소득에 해당합니다. 온전히 내 것이 아닌 대중의 돈, 여윳돈, 남의 돈도 같이 섞여있습니다. 

편재는 다달이 나오는 월급소득을 지루해하고 모험을 해서라도 더 큰 재물을 얻고 싶어합니다. 젊은 날에 편재는 내가 마음만 먹으면 이룰 수 있는 재물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한 번에 큰 돈이 들어오고 나가는 구조라 정재보다 안정성은 훨씬 떨어집니다. 편재가 다루는 행동양식은 눈에 보이는 유형의 거래를 선호합니다. 유통업, 제조업, 무역업 등이 있습니다. 남자에게는 이성을 의미하므로 편재가 들어오면 이성운이 열린다고 봅니다.


정관(正官) - 예전 시대에서 최고로 쳐주는 십성이었습니다만, 현대시대에 와서는 그 위상이 조금 떨어지는 편입니다. 요즘은 직업이 워낙 다양하고 평생직장이란 개념이 사라졌기 때문이죠. 그래도...정관은 정관입니다. 정재와 더불어 짝꿍이 잘 맞는 십성입니다. 관성인만큼 조직생활이 유리하고 체계에 순응도 잘합니다.변화를 싫어하고 보수적인 편입니다. 주로 보편적인 행정업무에 해당하고 업무 난이도도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 정관은 승진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편입니다. 


편관(扁官) - 고서에서부터 가장 오명을 받고 하대받은 십성입니다. 일곱개의 재앙을 몰고온다고 하여 칠살(七殺)이라고 불리웁니다. 편관은 업무난이도가 다소 어렵고 특수합니다. 정관과 달리 보편적인 업무를 지겨워합니다. 보편적인 업무는 오래 못하고 그만두기도 합니다. 주로 군인, 검찰, 경찰 같은 강한 직업군에 포진되어 있습니다. 운에서 편관이 들어오면 고난과 스트레스가 따르고 사고, 질병수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그러나, 정관과 다르게 성취보상이 엄청나게 큽니다. 난이도가 어려운만큼 이루어내는 결실도 큽니다. 


정인(正印) - 결재권, 문서, 계약, 학습, 이권, 수수료, 수행, 특허, 자격을 의미합니다. 인성은 인내심이 강하고 절제력을 의미하며 정인은 보편적인 학문을 말합니다. 학습과 자격을 의미하므로 면허, 자격증 취득에 유리합니다. 정인은 올바른 어머니의 보살핌을 의미하고 안정적으로 지원을 받는 성분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년월주에 정인을 타고난 사람들은 대체로 심성이 착하고 바릅니다. 원래, 사랑을 받고 자란 사람이 사랑을 주는 법을 아는 거죠^^


편인(扁印) - 정인과 같은 인성이지만 보편학문을 의미하는 정인과는 다르게 특수학문을 의미합니다. 정인이 국영수라면 편인은 역사, 음악, 미술 같은 학문입니다. 예술계통과 관련이 깊습니다. 편관과 더불어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습니다. 현금의 흐름을 막아버려 답답하게 만들고 건강의 상징인 식신을 도식하기 때문입니다. 정인이 올바른 어머니의 역할을 한다면 편인은 조건부로 역할을 하는 어머니를 말합니다. 정인이 온실속의 화초라면 편인은 야생화를 의미합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